중국의 소수민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소수 민족은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민족 집단을 의미하며, 중국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고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는 한족 중심의 민족 개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소련의 민족 이론을 받아들여 56개의 민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중국 정부는 민족 구역 자치 정책을 시행하며, 소수 민족의 경제 및 문화 발전을 지원하지만,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티베트 자치구 등에서 인권 침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소수 민족은 헌법상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차별과 통제 강화, 문화적 탄압 등으로 인해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수 민족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소수 민족 - 크메르 크롬
크메르 크롬은 베트남에 거주하는 크메르족으로, 캄보디아와 민족적, 문화적, 언어적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역사적 소외와 동화 정책, 분리주의 운동, 인권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시아의 민족 - 말레이 인종
말레이 인종은 18세기 블루멘바흐가 제시한 인종 분류 용어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자들을 지칭했으나 말레이인과 혼동을 야기하며, 식민 시대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해석, 사용되어 말레이계 민족과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 아시아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중국의 소수민족 | |
---|---|
개요 | |
이름 | 중국의 소수민족 |
원어 | 中国的少数民族 (중국어) |
대상 | 중화인민공화국 내 55개 공인 소수민족 |
인구 및 분포 | |
총 인구 | 1억 2547만 명 (2020년) |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8.89% (2020년) |
분포 지역 | 중국 전역 (주로 변경 지역) |
민족 구성 | |
주요 민족 | 좡족 만주족 위구르족 묘족 이족 터자족 티베트족 몽골족 둥족 부이족 |
공인 민족 수 | 55개 |
언어 | |
언어 | 각 민족 고유의 언어, 중국어 (공용어) |
주요 언어군 | 중국티베트어족 알타이어족 타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인도유럽어족 |
문화 및 사회 | |
문화적 특징 | 각 민족 고유의 전통, 종교, 생활 방식 |
종교 | 다양한 종교 (불교, 이슬람교, 기독교, 토착 신앙 등) |
사회 구조 | 각 민족 고유의 사회 조직 및 전통 |
정책 및 권리 | |
소수민족 정책 | 자치구역 설정, 문화 및 언어 보호, 경제적 지원 |
법적 권리 | 중국 헌법 및 관련 법률에 따른 권리 보장 |
역사적 배경 | |
역사적 관계 | 한족과의 역사적 교류 및 갈등 |
현대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소수민족 정책 변화 |
2. 역사
중국사에서 오랫동안 중국인들은 국적, 문화, 민족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8] 한족 중심의 사고방식은 '중심-주변'이라는 문화적 분열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역사적으로 '한화'는 민족 이동보다는 제국 통치와 문화 확산을 의미했다.
청나라 시대에 서구 사상이 유입되면서 변화가 있었지만, 이러한 인식은 1949년 중국 공산 혁명까지 이어졌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의 영향을 받아 소수 민족을 이해했으며, 이는 베트남과 라오스의 공산 정권에도 영향을 미쳤다.[9] 소련은 한 민족을 공통 언어, 문화, 역사적 영토를 가진 사람들로 정의하고, 각 민족에게 분리될 권리를 부여했다.[10] 이는 제국의 모든 사람을 중국인으로 정의하던 이전 방식과 달리, 국가와 민족을 분리하는 것이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아시아 협회는 학술 저널 ''아시아''에서 중국 무슬림이 중국인인지, 별도의 '민족 소수자'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13] 이 기사는 중국 무슬림이 종교, 문화 등 다른 요인 때문에 별도로 간주되며, "인종 소수자"로 보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결론지었다. [13]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문서(예: 1982년 헌법)는 소련의 관행에 따라 '민족'을 식별했다.[3][15] 1949년 이후, 사회 과학자들은 언어를 주요 기준으로 삼아 소수 민족 그룹을 구성했지만, 실제로는 문화적 차이가 뚜렷한 마을들이 같은 민족으로 묶이기도 했다(예: 광시 성의 좡족).[17]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1차 인구 조사에서 39개 민족,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인구 조사에서 54개, 1979년 지노족이 추가되어 현재 56개 민족이 인정되었다.
1979년 중국 경제 개혁 이후, 한족들은 소수 민족 지역을 방문하여 이국적인 의식을 관람하는 여행을 즐겼다.[21][22]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소련의 해체 이후, 중국은 소수 민족을 '국가'가 아닌 '민족 집단'으로 정의하기 시작했다. 공식 저널 《민족단결》은 영문 명칭을 《Nationality Unity》에서 《Ethnic Unity》로 변경했고, 중앙민족대학교는 중국 민족 대학교로 이름을 바꿨다.[23] 소련 해체 이후, 중국 지식인과 정책 입안자들은 소수 민족 집단 지정이 국가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베이징 대학교 교수 마룽은 민족 융합과 동화 정책을 권고했고, 이러한 제안은 시진핑 행정부 정책의 핵심이 되었다.[24]
중국 정부는 민족 구역 자치 정책을 통해 소수 민족에게 "민족의 문자·언어를 사용할 권리" 등을 인정하고 있다. 국민을 구성하는 여러 집단이 어느 "민족"에 귀속되는지를 확정하는 절차를 민족 식별 사업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오족"(한, 만, 회, 장, 몽)으로 불리던 민족 수는 56개로 늘었다.
현재도 미식별 민족이 존재하며, 중국 잔류 일본인 고아 등에 기인하는 일본계 등은 소수 민족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조선족, 징족, 오로스족 등은 소수 민족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좡족(현대 한자 표기는 '壮族')을 '獞族', 야오족(현대 한자 표기는 '瑶族')을 '猺族' 등과 같이 소수 민족 명칭에 개사슴록변(犭)을 포함하는 멸칭으로 불렀으나, 1940년에 의해 대부분 사람 인변(亻)으로 대체되거나 무난한 동음 문자로 대체되었다.
2. 1. 중국 민족 개념의 변천
중국사에서 오랫동안 중국인들은 국적, 문화, 민족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8] 한족 중심의 사고방식은 '중심-주변'이라는 문화적 분열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역사적으로 '한화'는 민족 이동보다는 제국 통치와 문화 확산을 의미했다.청나라 시대에 서구 사상이 유입되면서 변화가 있었지만, 이러한 인식은 1949년 중국 공산 혁명까지 이어졌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과 그의 1913년 해당 주제에 관한 팜플렛의 영향을 받아 소수 민족을 이해했으며, 이는 베트남과 라오스의 공산 정권에도 영향을 미쳤다.[9] 소련은 한 민족을 공통 언어, 문화, 역사적 영토를 가진 사람들로 정의하고, 각 민족에게 분리될 권리를 부여했다.[10] 이는 제국의 모든 사람을 중국인으로 정의하던 이전 방식과 달리, 국가(권력 투사 공간)와 민족(통치 대상 정체성)을 분리하는 것이었다.[11] 이 모델은 중국의 자치 지역을 탄생시켰고, 이 지역들은 중앙 정부로부터 이론적인 자율성을 가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아시아 협회는 학술 저널 ''아시아''에서 중국 무슬림이 중국인인지, 별도의 '민족 소수자'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13] 이 기사는 중국 무슬림이 종교, 문화 등 다른 요인 때문에 별도로 간주되며, "인종 소수자"로 보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중국 무슬림이 "인종적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은 일본 군 대변인이 퍼뜨린 거짓이며, 실제로는 서로 다른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13]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문서(예: 1982년 헌법)는 소련의 관행에 따라 '민족'을 식별했다.[3][15] 중국어 용어 (c=)는 이 개념을 번역하며, '민족'의 영어 번역도 소련의 관행을 따른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민족성' 또는 '민족 집단'(c=) 같은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5]
1949년 이후, 사회 과학자들은 다양한 ''mínzú''를 열거했다. 이들은 언어를 주요 기준으로 삼아 소수 민족 그룹을 구성했지만, 실제로는 문화적 차이가 뚜렷한 마을들이 같은 민족으로 묶이기도 했다(예: 광시 성의 좡족).[17] 개인의 민족적 지위는 족보를 기반으로 부여되었고, 이로 인해 한족 마을이 민족 정체성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기도 했다.[18]
사회 과학자들은 각 민족 집단의 주요 차별 속성을 설명했고, 정부는 이를 활용해 소수 민족 문화를 대표하는 공연을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선보였다.[19] 그러나 현대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시도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1차 인구 조사에서 39개 민족이 인정되었고,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인구 조사에서 54개로 늘었으며, 1979년 지노족이 추가되어 현재 56개 민족이 인정되었다.
1979년 중국 경제 개혁 이후, 한족들은 소수 민족 지역을 방문하여 이국적인 의식을 관람하는 여행을 즐겼다.[21][22] 소수 민족 사업가들은 관광객의 요구에 맞춰 춤, 의식 등을 선보이며 경제적 이익을 얻었고, 이는 소수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55개 소수 민족 분류는 1911년 쑨원의 국민당 정부가 소수 민족을 비하하는 정책에서 벗어난 것이었다.[3] 그러나 공산당의 분류는 인정된 민족 수를 크게 줄여 비판받았으며, 현재 '미식별 민족'은 73만 명이 넘는다.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소련의 해체 이후, 중국은 소수 민족을 '국가'가 아닌 '민족 집단'으로 정의하기 시작했다. 공식 저널 《민족단결》은 영문 명칭을 《Nationality Unity》에서 《Ethnic Unity》로 변경했고, 중앙민족대학교는 중국 민족 대학교로 이름을 바꿨다. 학자들은 '민족' 대신 '쭈췬'(c=, '민족 집단')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3] 이는 스탈린의 "4가지 공통점" 기준에 따른 것이다.
소련 해체 이후, 중국 지식인과 정책 입안자들은 소수 민족 집단 지정이 국가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베이징 대학교 교수 마룽은 민족 융합과 동화 정책을 권고했다. 이러한 제안은 시진핑 행정부 정책의 핵심이 되었고, 시진핑은 "거대한 민족 융합"을 추진하며 동화를 가속화했다.[24] 신장 재교육 수용소에 위구르족을 수감했다.[25]
2020년에는 1954년 이후 처음으로 한족이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4]
중국 정부는 민족 구역 자치 정책을 통해 소수 민족에게 "민족의 문자·언어를 사용할 권리" 등을 인정하고 있다. 국민을 구성하는 여러 집단이 어느 "민족"에 귀속되는지를 확정하는 절차를 민족 식별 사업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오족"(한, 만, 회, 장, 몽)으로 불리던 민족 수는 56개로 늘었다.
현재도 미식별 민족이 존재하며, 중국 잔류 일본인 고아 등에 기인하는 일본계 등은 소수 민족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조선족, 징족, 오로스족 등은 소수 민족으로 분류된다. 투바인은 몽골족으로 취급된다.
송대 카이펑에 정착한 유대인은 "유태"라고 불렸으나, 민족 식별 사업 과정에서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했다.[43]
과거에는 좡족(현대 한자 표기는 '壮族')을 '獞族', 야오족(현대 한자 표기는 '瑶族')을 '猺族' 등과 같이 소수 민족 명칭에 개사슴록변(犭)을 포함하는 멸칭으로 불렀으나, 1940년에 의해 대부분 사람 인변(亻)으로 대체되거나 무난한 동음 문자로 대체되었다.
2. 2. 민족 식별 사업
1949년 공산당 집권 이후, 소련의 민족 정책에 영향을 받아 '민족 식별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다양한 민족 집단을 조사·분류하여 법적으로 어느 "민족"에 귀속되는지를 확정하는 것이었다.[9] 소련의 민족 개념은 공통 언어, 문화, 역사적 영토를 가진 사람들을 하나의 민족으로 보는 것이었고,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민족 개념과는 차이가 있었다.[10]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문서와 1982년 헌법은 민족 집단을 식별하는 소련의 관행을 따랐다.[3][14][15] '민족'이라는 용어의 영어 번역도 소련의 관행을 따랐지만, 혼동을 피하기 위해 '민족성' 또는 '민족 집단'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기도 했다.[5]
사회 과학자 팀은 언어를 주요 기준으로 사용하여 민족을 분류했다.[17]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실제로는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가진 집단들이 하나의 민족으로 묶이기도 했다.[17] 예를 들어, "좡족"은 광시 성의 다양한 산간 마을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17] 개인의 민족적 지위는 족보에 따라 부여되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이전에는 동질적이었던 마을이 민족 정체성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었다.[18]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1차 인구 조사에서는 39개 민족이 인정되었고,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인구 조사에서는 54개로 늘어났으며, 1979년에 지노족이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56개의 민족이 확정되었다.
쑨원의 국민당 정부는 소수 민족을 비하하는 정책을 폈으나, 1951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3] 그러나 공산당의 민족 분류는 인정된 민족 집단의 수를 크게 줄여 비판을 받았다. 현재도 '미식별 민족'이 존재하며, 이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미인정' 민족은 중앙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거나 분류되지 않은 민족 집단을 의미하며 그 수는 73만 명이 넘는다.[23]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소련의 해체 이후, 중국 내 소수 민족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에 변화가 있었다. '국가' 대신 '민족 집단'으로 정의하게 되었고, 공식 저널과 대학교의 명칭도 변경되었다.[23] 시진핑 행정부는 민족 융합과 동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24]
중국 정부는 민족 구역 자치라는 소수 민족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국민을 한족과 55개의 "소수 민족"으로 구분하고, 각 민족의 집거 지역을 "구역 자치" 영역으로 지정하여, "민족의 문자·언어를 사용할 권리", "일정 재산의 관리권" 등을 인정하고 있다.
중국 잔류 일본인 고아 등에 기인하는 일본계, 홍콩, 마카오 반환으로 중국 국민이 된 영국계나 포르투갈계는 소수 민족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조선·한국계는 조선족, 베트남계는 징족, 러시아계는 오로스족 등으로 분류된다. 송대에 이주해 온 카이펑의 유대인은 "유태"라고 불렸으나, 민족 식별 사업 과정에서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했다.[43]
3. 주요 민족
중국은 56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족(漢族)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나뉜다. 한족은 중국 인구의 약 92%를 차지하는 지배적인 민족 집단이다.[28]
역사적으로 한족의 자기 개념은 중심-주변 문화적 분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한화(漢化) 과정은 제국 통치와 문화 확산과 관련이 있었다. 1949년 공산당 집권 이후 소수 민족에 대한 이해는 소련의 영향을 받아, 국가(권력이 투사되는 공간)와 민족(통치 대상의 정체성)을 분리하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자치 지역이 생겨났고, 이 지역들은 중앙 정부로부터 이론적인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아시아 협회는 중국 무슬림이 중국인인지 별도의 '민족 소수자'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중국 무슬림이 별도로 간주되는 이유는 종교, 문화 등 다른 요인 때문이며, 그들을 "인종 소수자"로 간주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결론지었다.[13]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제1차 인구 조사에서 39개의 민족 집단이 인정되었고, 1979년 지노족이 추가되면서 현재 56개의 민족 집단이 되었다.
소수 민족은 한 자녀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아 빠르게 증가했다.[28]
3. 1. 주요 소수 민족 (가나다 순)
중국은 공식적으로 56개의 민족(55개의 소수 민족과 지배적인 한족)으로 구성되어 있다.[26]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분류한 일부 민족은 그 자체 내에 다양한 집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다양한 집단의 먀오족은 몽-미엔어족, 타이-카다이어족,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며, 다양한 문화적 관습을 실천한다.[26]민족 집단 간의 변이 정도는 일관되지 않다. 많은 민족 집단은 다른 소수 민족 집단 및 지배적인 한족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한족 주류 집단과 매우 유사한 집단도 있다. 대부분의 회족은 이슬람교를 믿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한족과 구별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만주족은 지배적인 한족 사회에 광범위하게 동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2005년 표본 추출에 따르면, 최대 민족인 한족(漢族)은 전체 인구의 약 91.9%를 차지한다. 인구 순으로 그 다음으로 큰 민족 집단에는 좡족 (1800만 명), 만주족 (1000만 명), 후이족 (1000만 명), 먀오족 (900만 명), 위구르족 (800만 명), 이족 (780만 명), 투자족 (800만 명), 몽골족 (580만 명), 티베트족 (540만 명), 부이족 (300만 명), 야오족 (310만 명), 조선족 (250만 명) 등이 있다.[28]
주요 소수 민족은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
민족명 | 한자 |
---|---|
가오산족 | 高山族 |
걸라오족 | 仡佬族 |
나나이족 | 赫哲族 |
나시족 | 納西族 |
누족 | 怒族 |
다우르족 | 達斡爾族 |
다이족 (중국) | 傣族 |
더앙족 | 徳昂族 |
두룽족 | 独龍族 |
둥족 | 侗族 |
둥샹족 | 東郷族 |
라후족 | 拉祜族 |
러시아족 | 俄羅斯族 |
로바족 | 珞巴族 |
리수족 | 傈僳族 |
리족 | 黎族 |
마오난족 | 毛南族 |
만주족 | 満族 |
먀오족 | 苗族 |
먼바족 | 門巴族 |
몽골족 (중국) | 蒙古族 |
무라오족 | 仫佬族 |
바이족 | 白族 |
바오안족 | 保安族 |
부랑족 | 布朗族 |
부이족 | 布依族 |
살라족 | 撒拉族 |
서족 | 畲族 |
수이족 | 水族 |
시버족 | 錫伯族 |
아창족 | 阿昌族 |
야오족 | 瑶族 |
에벤키족 | 鄂温克族 |
오로첸족 | 鄂倫春族 |
와족 | 佤族 |
위구족 | 裕固族 |
위구르족 | 維吾爾族 |
우즈베크족 | 烏孜別克族 |
이족 | 彝族 |
징족 | 京族 |
징포족 | 景頗族 |
지노족 | 基諾族 |
조선족 | -- |
좡족 | 壮族 |
창족 | 羌族 |
카자흐족 | 哈薩克族 |
키르기스족 | 柯爾克孜族 |
타지크족 | 塔吉克族 |
타타르족 | 塔塔爾族 |
투자족 | 土家族 |
투족 | 土族 |
티베트족 | 藏族 |
하니족 | 哈尼族 |
후이족 | 回族 |
푸미족 | 普米族 |
4. 민족 정책 및 권익 보장
중화인민공화국 헌법과 법률은 중국 내 모든 민족 집단의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고, 소수 민족 집단의 경제 및 문화 발전을 지원한다.[30] 헌법은 차별과 분열 행위를 모두 금지한다.[31] '민족 구역 자치' 제도를 통해 소수 민족 집거 지역에 자치권이 부여된다. 헌법 제115조와 116조는 지방 수준의 자치 지역과 소수 민족 행정을 위해 지정된 자치주 및 현에서 지방 정부가 지방 인민 대표 대회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정치, 경제 및 문화적 특성에 비추어 "자치권 행사 및 기타 별도 규정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권한"을 갖는다고 명시하고 있다.[31] 자치 지역에서는 민족 언어 사용, 문화 보존, 경제 개발 등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된다.
소수 민족은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지방 정부에 대표를 파견하며, 민족 자치 지역에서는 민족 언어를 사용하고 발전시키며 자체 문화 및 사회적 관습을 유지할 자유를 보장받는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소수 민족 거주 지역에 경제 개발과 지원을 제공해 왔다.
소수 민족은 한 자녀 정책에서 예외를 적용받는 등 우대 정책의 혜택을 받기도 했다.[33] 그러나 2020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 등 소수 민족의 출산율을 억제하기 위해 강제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32] 소수 민족은 낮은 세금, 대학 입학 시 낮은 점수 등의 혜택을 받으며, 이는 소수 민족의 경제 발전을 위한 중앙 정부의 노력으로 평가된다.
중국 정부는 민족 식별 사업을 통해 국민을 한족과 55개의 "소수 민족"으로 구분하고, 각 민족의 집거 지역을 "구역 자치" 영역으로 지정했다. 이들에게는 "민족의 문자·언어를 사용할 권리", "일정 재산의 관리권", "일정 규모의 경찰·민병 부대의 조직권", "구역 내에서 통용되는 단행 법령의 제정권" 등이 인정된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중국 공산당은 '안정은 모든 것을 압도한다(안정제일주의)'는 기조 아래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48] 시진핑 정권은 '중화 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며 소수 민족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49] 특히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2016년 이후 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 운영,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구축 등 인권 침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0][51][52]
5. 민족 문제 및 논란
중국은 공식적으로 56개의 민족(55개의 소수 민족과 지배적인 한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과 인권 침해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26] 특히,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와 티베트 자치구의 문화 탄압은 국제 사회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48]
중국 정부는 2014년 우루무치 기차역 폭탄 테러 사건을 계기로 '사회의 안정'을 명분으로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49] 시진핑 주석은 '중화 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며, 소수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과 문화를 훼손하는 '민족 융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49]
2016년 천취안궈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당서기로 취임한 이후, 신장 위구르 재교육 수용소에 대한 대규모 구금이 시작되었다.[50] 국제 조사 보도 저널리스트 연합(ICIJ)이 입수한 중국 정부의 내부 문서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와 휴대 전화 등에서 개인 정보를 수집하여 알고리즘으로 분석하는 '일체화 통합 작전 플랫폼'(IJOP)을 통해 위구르족을 예방적 구금하고 있다.[50][51] 위구르인들은 QR 코드로 관리받고, 자동차에는 추적 장치가 설치되며, 모스크 등에 설치된 AI 감시 카메라에 의해 인종 프로파일링으로 식별되는 등 일거수일투족이 감시받고 있다.[53][54][57][58][59]
중국 정부는 '안정'과 '발전'을 명분으로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를 정당화하고 있지만, 이는 표현의 자유와 문화적 다양성을 억압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49]
한편, 중국 정부는 소수 민족에게 한 자녀 정책 적용 제외, 낮은 세금 기준, 대학 입학 시 낮은 점수 요구 등 우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32] 또한, 소수 민족 자치 지역에는 중앙 정부의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46] 그러나 이러한 우대 정책이 오히려 한족과의 역차별을 야기한다는 주장도 있다.[44]
6. 한국과의 관계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 중 하나로, 한국과 역사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조선족을 포함한 재외동포의 권익 보호와 한민족 정체성 유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 동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며, 이들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수 진영 일각에서는 중국의 소수 민족 정책, 특히 조선족에 대한 정책이 한국의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Ethnic Groups in China
http://english.gov.c[...]
2014-08-26
[2]
웹사이트
Main Data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https://www.stats.go[...]
2024-10-03
[3]
간행물
When Does The Word 'Minority Nationality' [Shaoshu Minzu] [First] Appear in Our Country?
http://www.columbia.[...]
Bulletin of the History of the Tibet Communist Party
1988
[4]
웹사이트
Conclusion: Splendid China and Being Minzu
https://mediakron.bc[...]
Boston College
[5]
서적
Alter/native Mongolian identity: From nationality to ethnic group
Routledge
2010-04-05
[6]
서적
Handbook of Ethnic Conflict: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7]
뉴스
A Mysterious Stranger in China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6-08-31
[8]
서적
Cultural encounters on China's ethnic frontier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간행물
Handling Mountain Minorities in China, Vietnam and Laos : From History to Current Issues
[10]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Decolonizing the Theory of Nationalism
Zed Books
[11]
학술지
The Soviet Model's Influence and the Current Debate on Ethnic Relations
2010-06
[12]
서적
The Moslem World, Volumes 31–34
https://books.google[...]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2011-05-08
[13]
서적
Asia: journal of the American Asiatic Association, Volume 40
https://books.google[...]
Asia Pub. Co.
2011-05-08
[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npc.gov.c[...]
2007-02-27
[15]
학술지
China's Fresh Approach to the National Minority Question
[16]
학술지
Seeing for the State: The Role of Social Scientists in China's Ethnic Classification Project
[17]
학술지
Regionalism versus Ethnic nationalism
[18]
학술지
Ethnic Classification Writ Large: The 1954 Yunnan Province Ethnic Classification Project and its Foundations in Republican-Era Taxonomic Thought
[19]
학술지
Representing Nationality in China: Refiguring Majority/Minority Identities
[20]
웹사이트
China - Ethnolinguistic Groups 1983
https://legacy.lib.u[...]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2019-09-20
[21]
서적
2. Ethnic Tourism in Rural Guizhou: Sense of Place and the Commerce of Authenticit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7-12-31
[22]
학술지
Paradise under Construction: Minorities, Myths and Modernity in Northwest Yunnan
http://crawford.anu.[...]
[23]
서적
Chinese Society: Change, conflict and resistance
Routledge
[24]
웹사이트
Beyond Xinjiang: Xi Jinping's Ethnic Crackdown
https://magazine.the[...]
The Diplomat
2021-05-05
[25]
뉴스
Dismantling China's Muslim gulag in Xinjiang is not enough
https://www.economis[...]
2020-11-16
[26]
문서
Ethnic China: Identity, Assimilation and Resistance
Lexington and Rowman & Littlefield
2015
[27]
학술지
Macho Minority: Masculinity and Ethnicity on the Edge of Tibet
http://crawford.anu.[...]
[28]
웹사이트
MINORITIES IN CHINA | Facts and Details
http://factsanddetai[...]
[29]
웹사이트
China & Mongolia Regional DNA Project
https://www.eupedia.[...]
[3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english.peopl[...]
[31]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6
[32]
뉴스
China cuts Uighur births with IUDs, abortion, sterilization
https://apnews.com/2[...]
2020-08-01
[33]
뉴스
China Sticking With One-Child Policy
https://www.nytimes.[...]
2008-11-20
[34]
웹사이트
Ethnic Groups
http://www.china.org[...]
2019-03-07
[35]
학술지
Islamic Education in China
http://www.asiaquart[...]
2006
[36]
웹사이트
Periphery: Ethnic Minority Candidates for the 20th Central Committee
https://www.chinausf[...]
2022-06-11
[37]
웹사이트
Who Rules China? Comparing Representation on the NPC and Central Committee
https://macropolo.or[...]
2023-09-22
[38]
웹사이트
LibGuides: Chinese Ethnic Groups: Overview Statistics
https://guides.lib.u[...]
2023-09-22
[39]
간행물
Getting Ahead in the Communist Party: Explaining the Advancement of Central Committee Members in China
2012-02
[40]
웹사이트
Uyghurs
https://www.hrw.org/[...]
2023-09-22
[41]
간행물
Ethnic Minority Elites in China's Party-State Leadership
https://www.brooking[...]
2008
[42]
웹사이트
How much of the NPC is composed of women and ethnic minorities?
https://www.scmp.com[...]
2023-09-22
[43]
서적
中国・開封のユダヤ人
人文書院
2007
[44]
웹사이트
31名高考生身份作假,取消加分資格
http://cq.xinhuanet.[...]
2022-07-10
[45]
웹사이트
外媒:“两少一宽”政策副作用明显 应予以纠正限制_大公资讯_大公网
http://news.takungpa[...]
2022-07-10
[46]
웹사이트
中央财政支持民族地区等发展的政策措施_资讯_凤凰网
https://news.ifeng.c[...]
2022-07-21
[47]
간행물
民族的认同与“识别” 以围场满族蒙古族自治县高山族为例
[48]
웹사이트
焼身しか策がないチベット人の悲劇
https://www.newsweek[...]
Newsweek
2022-09-10
[49]
웹사이트
中国が少数民族に抑圧的な政策を採る構造的要因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2-09-10
[50]
뉴스
Exposed: China’s Operating Manuals For Mass Internment And Arrest By Algorithm
https://www.icij.org[...]
2019-11-25
[51]
뉴스
大規模システムでウイグル族を監視 中国当局の内部文書判明
https://www.tokyo-np[...]
2019-11-25
[52]
뉴스
Secret documents: China detention camps to 'prevent escapes'
https://mainichi.jp/[...]
2019-11-25
[53]
뉴스
ウイグル族を「QRコード」で管理する中国
https://www.newsweek[...]
2019-11-20
[54]
뉴스
新疆ウイグル自治区の住民、工具へのQRコードの装着を強要
https://jp.bitterwin[...]
2019-11-20
[55]
뉴스
中国当局、全車両に位置情報ソフトの搭載義務付け 新疆の一部地区で
https://www.afpbb.co[...]
2019-11-25
[56]
뉴스
中国政府の監視の目、メッカ巡礼イスラム教徒にも
https://jp.wsj.com/a[...]
2019-11-20
[57]
뉴스
中国の警察は少数民族を識別するためにAIを使っている
https://www.gizmodo.[...]
ギズモード
2019-11-20
[58]
뉴스
One Month, 500,000 Face Scans: How China Is Using A.I. to Profile a Minority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9-11-20
[59]
뉴스
中国、ウイグル族の処遇を正当化 NZ銃撃事件引き合いに
https://jp.wsj.com/a[...]
2019-11-20
[60]
뉴스
中国新疆当局、住民の生体情報を収集 人権団体報告
https://www.cnn.co.j[...]
2019-11-20
[61]
뉴스
市民のDNA採取を進める中国、その真の構想とは
http://jp.wsj.com/ar[...]
2019-11-20
[62]
뉴스
China has turned Xinjiang into a police state like no other
https://www.economis[...]
2019-11-20
[63]
뉴스
中国「完全監視社会」の実験場、新疆を行く
http://jp.wsj.com/ar[...]
2019-11-20
[64]
뉴스
48 Ways to Get Sent to a Chinese Concentration Camp
https://foreignpolic[...]
2019-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